-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디지털자산 월렛 서비스 잇따라 선보여
- 단순한 월렛 기능 넘어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이 관건

밀크파트너스의 포인트 통합 월렛 밀크(사진=밀크파트너스)
밀크파트너스의 포인트 통합 월렛 밀크(사진=밀크파트너스)

 

[더블유스타트업 김수진 기자] 최근 대기업은 물론, 카카오, 네이버와 같은 국내 대표 ICT 및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 지갑’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어 화제다. 
 

디지털 자산 지갑(월렛, Wallet)이란 기존 은행 계좌와 유사한 개념으로 보면 된다.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일종의 저장 공간을 뜻하는데, 이용자마다 보유한 고유 지갑 주소를 이용해 쉽고 편리하게 디지털 자산을 주고받을 수 있다. 
 

디지털 월렛은 ‘캐시리스(Cashless, 현금 없는)’ 사회가 될 4차산업혁명 시대 핵심 서비스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자산 지갑을 통해 블록체인의 대중화 및 상용화를 이끌고 있는 관련 사례를 모아보았다. 

# 업계의 기대 한 몸에, 카카오의 디지털 자산 모바일 월렛 ‘클립(Klip)’

우선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가 6월 초 출시한 디지털 자산 월렛 ‘클립(Klip)’이 출시 하루 만에 가입자 10만 명을 넘어서는 등 업계의 기대를 받고 있다. 클립은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모바일 앱 내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과 로그인 역시 카카오 계정을 이용하면 된다. 업계는 카카오톡과 연동되는 클립이 국내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의 대중화를 앞당기고 산업 저변을 확대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클립 사용자는 카카오톡 친구 리스트를 이용해 디지털 자산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복잡한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알지 못해도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의 전송 속도는 일반적인 모바일 뱅킹 이체와 유사하며 수수료는 없다. 그라운드X는 올 하반기 중에 지난해 공개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와 직접 연동 시켜 사용할 수 있는 클립 버전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그라운드X, 클립(Klip)(사진=카카오)
그라운드X, 클립(Klip)(사진=카카오)

 

# 포인트 교환부터 현금화까지 사용자 활용 가치↑포인트 통합 월렛 밀크(MiL.K)

밀크파트너스가 운영 중인 ‘밀크(MiL.K)’ 월렛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포인트를 담아 필요한 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앱 서비스다. 모든 포인트들을 제약 없이 양방향에서 서로 교환할 수 있어 기존 포인트 교환 서비스들보다 유용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야놀자의 야놀자 코인을 신세계면세점 갓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고, 반대로 갓포인트를 야놀자 코인으로 교환할 수 있다. 결제 시 사용자가 필요한 포인트로 바꿔 쓸 수 있기에 포인트의 활용 가치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포인트를 현금화하여 출금도 가능하다. 포인트의 교환과 가격 평가의 수단으로 쓰이는 ‘밀크 코인(MLK)’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를 통해 본인 계좌로 출금할 수 있다. 이 외 밀크 앱 내 ‘짜잔마트’에서 커피, 음료, 치킨, 피자 등의 모바일 쿠폰을 최대 50% 할인된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포인트를 활용할 수 있게 선택 범위를 넓혀주고, 소액의 포인트도 현금처럼 사용처에 구애 받지 않고 이용 가능해 잊지 않고 유용하게 챙겨 쓸 수 있다.

 
밀크파트너스는 현재 야놀자, 신세계 면세점, 딜카, 서울 공항 리무진이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여행뿐만 아니라 영화관, 서점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포인트들도 추가하여 서비스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 네이버 자회사 라인, ‘라인 블록체인 월렛’ 출시 박차
 

네이버의 자회사 라인도 최근 블록체인 월렛 서비스 관련 경력 개발자의 채용 공고를 내는 등 서비스 출시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라인이 일본, 태국, 대만 등에서 국민 모바일 메신저로 자리잡을 정도로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갖고 있는 만큼 라인 아이디로 로그인 및 실명인증(KYC)을 할 수 있는 ‘라인 블록체인 월렛’ 출시에 주목하고 있다.
 

라인이 일본을 비롯해 동남아 국가에서 총 1억6400만명에 달하는 월간 순방문자 수(MAU)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향후 서비스가 출시되고 활성화되면 국경을 넘는 디지털 자산 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을 전망이다.

# 삼성전자, ‘삼성 블록체인 월렛’ 기능 고도화
 

삼성전자는 지난달 블록체인 개발 및 대내외 서비스 협업을 진행했던 인력을 한데 모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산하 블록체인 개발그룹으로 확대 개편했으며, 미국 디지털 자산 거래소 제미니와 파트너십을 맺고 블록체인 월렛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삼성 블록체인 월렛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 및 거래할 수 있는 지갑 서비스로 갤럭시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제미니 측은 “삼성전자와의 이번 파트너십으로 미국과 캐나다의 400만 제미니 사용자는 제미니 모바일 앱과 삼성 블록체인 월렛을 이용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거래와 잔액 조회가 가능하다”며 “제미니의 커스터디(가상자산 수탁) 서비스를 통한 콜드월렛 전송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디지털자산 지갑 서비스가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한 것에 대해 
밀크파트너스 관계자는 “수 많은 디지털 자산 지갑(월렛) 경쟁에서 살아남고 이용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보관, 송금 등의 단순한 월렛 기능을 넘어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며 “밀크 또한 디지털 자산으로 매일 새로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채널 오픈과 같은 서비스 다각화와 추가 파트너사 확보를 통한 이용자 혜택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sjkimcap@naver.com

저작권자 © 이슈앤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